본문 바로가기
JOB/LOGISTIC

HS CODE란 무엇인가 그리고 검색 방법

by Herrenn 2021. 1. 11.
반응형

HS CODE 란 각 국가별로 품목분류체계를 통일하기 위한 코드 입니다.

물류란 재화의 이동이고 모든 재화는 HS CODE에 의해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관세의 모든 특혜와 제한은 HS CODE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위의 이유만 해도 무역을 하는 사람이 HS CODE에 대해 공부할 이유는 충분합니다만 HS CODE가 정말 중요한 이유는 아직 따로 있습니다. 

 

바로 하나의 제품에 여러 HS CODE가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

따라서 같은 제품이라도 관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실 HS CODE란 녀석이 원료와 용도, 가공도 등등 굉장히 세세하게 분류되어있고 보고있으면 끝없는 설명에 눈만 껌뻑껌뻑 하게 되지만 아무리 세세해도 세상 모든 재화를 다 분류해 놓을수는 없는것이죠.

 

또한 여러 부품 혹은 재료가 하나의 제품을 위한 것일땐 그 제품 하나의 HS CODE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작년 초 공장 턴키수출을 진행한 적이 있는데 컨테이너 15대 분량의 수 백가지 제품을 그 공장의 용도와 관련된 하나의 HS CODE로 묶어 4억정도의 관세를 절감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내키는데로 아무 HS CODE나 써냇다간 매우매우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증명 가능한 범위에서 논리적으로 적용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수출 혹은 수입시 어떤 HS CODE를 적용할지는 기본적으로 관세사와 한 번 체크 그리고 수입국의 통관 에이전트와 의 컨펌 이렇게 더블체크가 기본이죠.

 

사실 화주 입장에선 세세하게 공부할 필요는 없지만 무역을 하는 사람으로써 일반상식이기도 하고 견적을 주고 받을때 대략적인 비용계산을 위해 필요하니 검색하는 방법정도는 알아두도록 합시다.

 

검색을 위해서 먼저 네X버에 HS CODE를 검색해 줍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관세청에서 운영하는 관세법령 정보포털에 들어갑니다. 

잡설이지만 그 어느나라 관세청 사이트도 우리나라만큼 잘 되어있는 곳은 없는것 같습니다. 

한국의 통관시스템은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고 있기도 하죠. bb

 

 

 그럼 이런 초기화면을 만나게 되실겁니다. 여기서 상단의 세계HS ->관세율표 로 들어가줍시다.

관세율 표를 클릭하면 이런 화면을 보게 되실텐데 여기서 수출 혹은 수입하고자 하는 제품의 품명을 오른쪽 상단 세번,상품검색창에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HS CODE는 6자리까지가 기본이고 그 이후부턴 각 국가별로 상이한데 한국의 HSK CODE는 총 기본 6자리+추가 4자리 까지 있어 그 분류가 생각보다 세세한 편입니다. 

 

따라서 내가 수출하고자 하는 품목을 세세하게 입력해도 예상외로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생각보다 품목이 세분화 되어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같은 등산화인데 세율이 약간 다른것 확인 되시나요? 이렇게 한가지 품목에도 다른 HS CODE 적용이 가능합니다.

 

자 이제 내가 팔고자 하는 수출국의 관세를 확인하러 가보겠습니다. 

노랗게 마크된 등산화를 클릭해봅시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간까지만 캡쳐되어 있지만 해당 창에서 각 나라와의 세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TA가 체결된 국가라면 FTA 관세율이 확인될 것이고 수출하고자 하는 국가가 해당 창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통상조약도 체결되지 않은 국가이니 구분기호 C WTO 협정세율을 보시면 됩니다. 

왠만한 국가는 모두 WTO에 가입되어있고 최혜국대우의 특성때문에 가입국가는 모두 WTO 협정세율을 적용받기 때문에  기본세율이 적용되는 경우는 정말 어지간하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FTA 관세율의 경우 체결된 국가이더라도 FTA원산지증명서 발급이 안된다면 똑같이 WTO 협정세율을 적용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입 상대국에 오퍼를 넣을때 혹은 수입하고싶은 제품이 있어 원가를 계산할 때 세율을 가늠해보시면 됩니다. 

 

이상 HS CODE의 중요성과 간단한 검색방법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반응형

'JOB > LOGIST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워딩 운임 용어 정리  (0) 2021.02.12
해외 화장품 수입방법  (2) 2021.02.08
식품 수입 절차  (1) 2021.02.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