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WORLD ISSUE REVIEW10 상하이 봉쇄, 파워게임, 우-러 전쟁 / 브라질 국채 / 미국 고배당주 https://blog.naver.com/hanjinsns/222733983909 상하이 봉쇄가 불러온 물류대란, 셧다운이 글로벌 공급망에 끼치는 영향 최근 상하이에선 코로나 확진자 수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전면적인 도시 ... blog.naver.com 한진에서 블로그 필진 요청을 받아 한 달에 3개씩 원고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주제는 상해 봉쇄와 글로벌 공급망에 관한 이야기였는데 블로그 방향에 따라 편집하다보니 많은 부분이 누락되어 아쉬운 마음에 누락분 남겨봅니다. 1. 상해는 현재 굶어 죽는 사람이 나온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로 4월부터 고강도 봉쇄 중. 장기집권을 노리는 시진핑의 임기는 현재 1년 남짓 남아있고 주석 임기를 2연임으로 제한하던 전통을 깨고 3연.. 2022. 6. 12. 미얀마 군부 쿠데타와 아웅산 수치 2020년 11월엔 미얀마 총선이 있었습니다. 2015년 총선을 통해 아웅 산 수치가 이끄는 NLD(민족민주동맹)가 정권을 차지하며 군부독재를 끝낸 후 맞이한 두 번째 총선이었죠. 2020년 총선에서도 NLD는 전체 의석수의 83%를 차지하며 문민정부 2기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군부에선 800만명 이상이 유권자명부에 부정하게 등록되었다며 불복을 선언, 지난 2월 1일 1년간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쿠데타를 일으켰고 현재 국가고문인 아웅 산 수치는 또다시 가택연금을 당하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우리에게도 낯설지만은 않은 미얀마 군부 쿠데타 사태와 미얀마 민주주의 운동의 아이콘인 아웅 산 수치에 지난 발자취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는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Ⅰ독립영웅의 딸 민주주의의 영웅이 되다 *배경.. 2021. 2. 14. 국채에 관하여 (feat 금리) 국채의 개념 및 채권의 특징 국채는 국가에서 발행한 채권을 의미합니다. 정책자금 조달이 필요한 정부는 일정한 퍼센트의 이자를 만기시까지 지불하고 만기시엔 원금을 갚을것을 약속하고 시장에 채권을 발행합니다. 국채는 비교적 안전자산에 속하므로 다양한 시장참여자가 위험의 회피등을 목적으로 채권을 구매하죠. 특히 미국 국채는 최근 그러한 지위가 다소 흔들리기도 했지만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채권의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표면금리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2. 표면금리와 채권가격은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 3. 양수도가 가능하다. 발행시 정해진 표면금리는 만기시까지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채권시장은 왜 존재하며 채권가격은 왜 변동되는 것일까요? 가만히 가.. 2020. 11. 23. 추경과 양적완화 지난 9월10일 정부는 7조8000억 규모의 4차 추경을 발표하며 여전히 확장재정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칠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이번 추경의 지원대상은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전국민 통신비지원(나이에 제한을 둠으로써 조정됨, 아이돌봄에 지원이 집중 됐습니다. 지난 3월 1차추경 이후 현재까지 추경의 규모는 약 66조으로 2019년 책정된 추경예산인 5.8조원을 이미 아득히 넘어서고 있습니다. 추경은 비단 한국정부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닙니다. 일본은 아베노믹스를 통해 이미 8년 전 부터 양적완화를 통해 잃어버린 30년이 다가오는 것을 막아왔고 미국도 이번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무제한적인 양적완화를 시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부는 이러한 막대한 자금을 어디서 어떻게 조달할까요? 1)양적완화란 QE(QUANTI.. 2020. 10. 5. 이전 1 2 3 다음